[잠깐] 황재현 동국대 교수
“국산 콩 소비 저변은 무궁무진합니다.”
황재현 동국대학교 식품산업관리학과 교수는 “논콩 우수 생산단지 등을 선정할 때 현장 심사를 가보면 의외로 정부 수매에만 기대지 않고 지역과 연계해 판로를 해결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면서 “경기 파주 장단콩 관련 음식, 전북 전주 콩나물국밥은 물론이고, 지역 소규모 가공업체와 손잡고 이색 콩 제품 원료로 조달하는 곳이 꽤 있다”고 말했다.
황 교수는 “특히 충북 괴산 등지에선 ‘푸드테크’의 한 영역인 대체육의 주된 원료가 콩이라는 점에 주목해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관련 콩산업을 육성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는 “콩농사처럼 토지 이용형 농업에선 기계화가 수반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콩산업도 품질 고급화보다는 수량과 단가 싸움이 될 가능성이 크다”면서 “균질화한 품질의 콩을 다량 소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유형의 콩 가공식품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황 교수는 “중요한 건 어렸을 때부터 콩을 가까이 접하고 맛보는 기회를 늘려나가는 것”이라면서 “관련 교육을 통해 ‘가공식품 개발→소비 확대→콩 생산 증가’라는 선순환을 일으킬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소영 기자
ⓒ 농민신문 & nongmin.com, 무단 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 게시판 관리기준?
- 비방, 욕설, 광고글이나 허위 또는 저속한 내용 등은 사전 통보 없이 삭제되거나 댓글 작성이 금지될 수 있습니다.
- 농민신문
- 페이스북
- 네이버블로그
-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