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 기준 국내 농가는 103만1000가구, 농가인구는 221만5000명이다. 이 가운데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은 46.8%나, 이나마도 고령에 따라 농업을 포기하거나 수입이 적어 전업을 하기 때문에 농업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다.
고령화·인구절벽·저출산이 비단 농촌만의 문제는 아니지만, 농촌 현장 인력난은 심각한 수준이다. 본격적인 농번기가 시작되면 작목과 지역에 상관없이 인력난은 가장 시급하면서도 해결이 어려운 문제다. 몇년 전에는 한 동네에서 감자 수확을 위해 외국인 근로자 인력을 30명 고용하기로 맞춰 놓고 당일 새벽 일할 사람들이 도착하기를 기다리고 있는데 30명 가운데 20명이 1만원을 더 준다는 지역으로 하룻밤 사이 떠나버려 곤욕을 치르는 경우를 보았다. 이는 그 집만의 문제가 아니라 해마다 농촌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한 일이었다.
그렇다고 별수가 있는 것도 아니다. 농번기에 워낙 일손 구하기가 힘들어서다. 농번기에는 한시적으로 일용 근로자의 일당이 아주 높게 오르기 때문에, 인건비를 지급하고 나면 거의 적자나 다름없어 비용이 부담스럽다. 어찌 저찌 구한다고 약속을 해도, 위 사례처럼 막상 구한 인력이 오지 않아 문제가 생길까 봐 늘 불안감을 갖고 일을 해야 한다.
한겨울에도 과즙 터지는 딸기와 싱싱한 쌈채소를 먹을 수 있고, 시설재배다 스마트팜이다 해서 도시민들은 농업에 계절이 사라진 지 오래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농사를 짓는 데 있어 여전히 계절은 중요한 요소다. 농산물 특성상 일정한 계절에 따라 농산물이 대량으로 출하되기 때문에 이에 맞춰 모든 일정이 조정된다. 출하 일정에 맞춰 수확할 인력을 고용해 계약물량을 맞춰야 하지만 계절은 농가 사정을 봐주지 않으니 이 짧은 기간에 전국 거의 모든 농가가 인력을 구하기 위해 골몰한다. 그러는 사이 시시각각 농산물 품질은 저하돼 농민의 애를 태운다.
경북도에서는 시·군에 농촌일손지원센터를 비롯해 외국인 계절근로자 대책을 마련해서 시행하고 있으며 농림축산식품부에서도 계절 근로자와 공공인력 공급을 위해 힘을 쓰고 있다.
시급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인력이 공급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하지만 농사일은 전문적인 기술을 요하는 작업들이 많아 쉽사리 인력을 받기가 망설여지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농업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것이 필요하며 귀농·귀촌을 준비하는 사람들에게 농업기술을 교육하고 현장을 경험할 수 있도록 단기 직장 형태의 근로 기준을 마련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 생각한다.
경북도가 제공하는 농촌인력 공급 서비스는 안전교육과 보험 가입, 안전장비 등이 지원되기 때문에 농가와 근로자에게 조금은 더 안전한 환경이 제공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런 장점을 토대로 위에 제시한 농업기술 교육이 함께 이뤄진다면 농가와 근로자 모두 편하고 일하기 좋은 환경이 제공될 것으로 본다. 문제 해결을 위해 새로운 정책을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현재 있는 정책을 잘 활용해 현장에 맞출 수 있으면 더 좋지 않을까?
이정원 (미녀농부 대표)
ⓒ 농민신문 & nongmi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게시판 관리기준?
- 비방, 욕설, 광고글이나 허위 또는 저속한 내용 등은 사전 통보 없이 삭제되거나 댓글 작성이 금지될 수 있습니다.
- 농민신문
- 페이스북
- 네이버블로그
-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