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D집다] 우리 농민의 정신건강이 위험하다

입력 : 2022-08-22 00:00

01010101801.20220822.001345903.02.jpg

10일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022년 2분기 코로나19 국민 정신건강 실태조사’에 따르면 거리두기 해제 이후 우울감을 느끼는 사람의 비율은 줄었지만 자살을 생각한 사람의 비율은 오히려 12.7%로 증가했다. 이는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도의 4.6%보다 3배나 높은 것이다. 특히 소득이 감소한 경우 자살을 생각한 비율과 우울감을 느끼는 비율 두가지 모두 높은 결과를 보였다. 실태조사를 맡았던 책임 연구원은 소득감소와 고립 등이 정신건강을 더욱 악화한다고 덧붙였다.

올해 초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농업전망 2022’를 통해 국제 원자재와 농업 투입재의 가격급등, 노동임금과 임차료 상승이 농가경제를 압박해 농가소득은 낮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여기에 장마철 국지성 호우 등 자연재해까지 더해져 소득감소는 물론 농장경영 상황의 악화로 농민들의 시름이 커졌다.

이는 근심과 걱정을 넘어 농민들의 정신건강을 위협할 수 있다. 특히 농업은 다른 업종에 비해 직무 스트레스가 높아 정신건강에 취약하다. 미국 국립 직업안전위생연구소 연구결과에 따르면 농민은 도시 근로자들에 비해 자살률이 1.9배가량 높은데 이는 농업이 경제적, 사회·심리적 스트레스가 높은 편이며 근로환경이 열악하고 노동강도 역시 높기 때문이다. 농민의 직무 스트레스 파악과 정신건강 관리에 더욱 세심한 관찰과 포괄적 관리가 필요한 이유다.

그러나 농촌의 의료 인프라는 취약한 편이다. 2020년 12월 미국농민연맹에서 농민, 농업계 종사자, 농촌 지역 성인 거주자 등 2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미국 내 농업 종사자 66%가 코로나로 인해 정신건강이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농민연맹 관계자는 “농촌에 의료 인프라가 부족해 농민은 정신건강이 위기일 때 도움을 요청하기 어려운 환경인 데다 우울증 등 정신적 어려움으로 병원 진료를 받는 것을 꺼리거나 피하는 경향이 도시민보다 강해 이를 개선할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렇다면 우리 농민은 과연 어디에서 정신건강에 대한 도움을 받을 수 있을까? 2020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인안전보건팀은 ‘농업안전보건센터 내 농업인 정신건강분야 도입’ 정책을 제안했다.

농업안전보건센터는 ‘농어업인의 삶의 질 향상 및 농어촌지역 개발촉진에 관한 특별법’에 근거해 운영되는 기관으로 농민들을 농작업 관련 질병과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운영되고 있다.

현시점에선 농업안전보건센터의 정신건강분야 도입 정책 추진현황 파악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코로나19 장기화, 기후변화, 국제사회 이슈 속에서 버티고 있는 농민을 살펴 적절한 정신건강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이는 청년 후계농 정책과 영농자금 대출을 통해 농업·농촌에 이제 막 정착한 청년 농민들이 오래도록 농장을 유지하고 농업을 지키는 또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다. 또 농민들의 정신건강 실태 파악과 이에 따른 농민 정신건강 복지정책 수립은 곧 국민건강 회복·유지·증진을 도모하는 일이기도 하다.

조영우 (데메테르 팜앤팜 대표)
 

ⓒ 농민신문 & nongmi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게시판 관리기준?
게시판 관리기준?
비방, 욕설, 광고글이나 허위 또는 저속한 내용 등은 사전 통보 없이 삭제되거나 댓글 작성이 금지될 수 있습니다.
농민신문 및 소셜계정으로 댓글을 작성하세요.
0 /200자 등록하기

기획·연재

많이 본 기사

최신기사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