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으로 여성 파워 커져
여러 분야에서 리더로 약진
평등사회 속 경제활동 늘고
감성경제 시대에 강점 발휘
적지 않은 남자들 불평 호소
인류문명 변화 받아들여야
요즘 세계적으로 여성 파워가 거세지고 있다. 정치·경제·문화·예술 등 모든 분야에서 여성의 힘이 커지고 있다.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니다. 대학에서 여학생이 더 좋은 성적을 내고 사관학교 수료식에서도 여생도가 대통령상을 받는 일이 많아졌다. 공무원 시험에서도 여성의 성적이 더 높다. 사회 여러 분야에서 여성이 리더로 약진하고 있다. 반면에 남성은 기세가 한풀 꺾였다. 왜 이런 현상이 생겼을까?
우선 남존여비 문화가 사라지고 남녀평등 사회가 됐다. 어려서부터 가정이나 학교에서 이렇게 교육받고 법적으로도 남녀평등을 보장받는다.
둘째는 여성의 경제활동이 늘어났다. 여성이 경제소득이 생기면서 자생력이 커졌음을 의미한다.
셋째는 경제활동 원천이 컴퓨터와 첨단기술로 바뀌면서 여성에게 유리한 환경이 조성됐다. 인류사회는 손발경제에서 두뇌경제를 거쳐 감성경제로 바뀌었다. 손발경제는 육체노동 기반이라 남성에게 유리하다. 두뇌경제는 정보·지식·기술이 중요한 자원이고 컴퓨터를 기반으로 일을 한다. 남녀에게 기회가 거의 동일하다. 감성경제는 소통·공감 등 감성지능으로 성과를 이끌어내기 때문에 여성에게 유리하다.
3년 전 이어령 교수님을 서울 종로구 평창동 자택 앞에 있는 ‘이어령 식당’에서 아내와 함께 뵌 적이 있다. 당시 교수님이 생명자본주의를 말씀하시면서 인류의 진화와 지속가능성을 이끌어가는 주인공은 ‘할머니’라고 강조해 감탄했다. 숙성된 지혜는 할머니들에게 나타나며 이분들이 손주를 지혜롭게 돌보며 인류 유산을 다음 세대에 물려준다는 것이다. 남자보다 여자의 수명이 긴 것도 할머니가 더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꼬부랑 할머니’라는 노래 가사를 보라. 꼬부랑 할머니가 꼬부랑 고개를 넘어가는 게 대를 이어가는 인류 역사다. 인류는 원래 모계사회였는데 전쟁과 산업구조 때문에 남성이 권력을 쥐고 흔들다가 정보화사회 이후 다시 모계사회로 돌아오게 됐다는 것이다. 원로 지성인이 이런 말씀을 하시니 이게 진리로구나 하는 생각을 하며 돌아왔다.
요즘 나이 든 남자 사이에서 억울함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평생 처자식 먹여 살리느라 온갖 고생을 다 했는데 은퇴 이후 돈도 못 벌고 힘이 빠지니 무시당한다는 하소연이다. 어느 정도 일리가 있는 말이다. 그러나 인류문명이 근본적으로 바뀐 것을 받아들여야 하지 않을까.
얼마 전 송년모임에 나갔더니 세상이 여인천하로 바뀌었다고 크게 불평하는 사람이 있었고 적지 않은 사람들이 동조했다. 그러자 교수직에서 은퇴한 한 친구가 따끔한 소리를 한다.
“다들 지금까지 운 좋게 살아온 줄 알아야지. 혹시 <남자의 종말>이라는 책 읽어봤어? 지금부터라도 마누라한테 감사하며 살아라.”
집에 돌아와서 <남자의 종말>을 찾아봤더니 미국 여성 저널리스트 해나 로진이 쓴 책이다. 역시 내용은 이제부터 근육이 아니라 두뇌와 감성지능으로 살아가는 시대라 가부장적인 남성 시대는 끝나고 여성이 세상을 이끌어간다는 것이다. 더구나 모든 것이 연결되고 융합되는 세상인데 융합지능도 여성이 더 뛰어나다는 주장이다. 마침 뉴스를 보니 LG와 삼성에서 최초로 여성 전문경영인 사장이 나왔다는 소식이다.
정말 남자의 종말이 다가오는 건가? 직장에서는 여자 상사를 모시고 일하고 집에서는 아내가 가장 노릇을 하는 세상이 오는 걸까? 아내보고 따뜻한 커피 한잔 내려달라고 하려다가 생각을 바꿨다. 아내 것까지 두잔을 내렸다. 지혜가 모자라면 눈치라도 있어야 하지 않겠나.
윤은기 (한국협업진흥협회장)
ⓒ 농민신문 & nongmi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게시판 관리기준?
- 비방, 욕설, 광고글이나 허위 또는 저속한 내용 등은 사전 통보 없이 삭제되거나 댓글 작성이 금지될 수 있습니다.
- 농민신문
- 페이스북
- 네이버블로그
-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