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한우 수급조절…대규모 농가 자율감축 뒷받침돼야

입력 : 2022-12-16 00:00

한우값이 끝 모를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사육·도축 마릿수가 꾸준히 느는 상황에서 경기둔화로 고기 소비가 부진한 탓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현재 354만마리 수준인 한우 사육마릿수가 내년엔 357만마리에 이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도축마릿수는 올해 85만3000마리에서 2023년 93만9000마리, 2024년엔 100만마리 이상으로 증가할 전망이라고 한다. 반면 한우 수요는 감소하고 있다. 올해 국민 1인당 한우고기 소비량은 12.0㎏으로 지난해 12.8㎏에 견줘 6.1% 줄었다. 따라서 현재 ‘경계’ 수준인 수급단계가 내년엔 ‘심각’ 상태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

한우업계 전망도 비관적이다. 전국한우협회 한우정책연구소는 13일 경북 문경에서 열린 ‘2022 한우산업 발전 간담회’에서 지금 같은 공급과잉 기조가 지속되고 수요마저 줄어든다면 내년 한우 지육값은 올해 1㎏당 1만9263원에서 최대 22.1% 떨어진 1만5000원대까지 하락할 수 있다는 분석결과를 내놨다. 여기에 전문가들은 사료값을 비롯한 생산비 급증, 높은 물가상승률 등을 고려하면 경영난으로 축산농가들이 줄도산한 2013년 ‘소값 파동’ 때보다 현재 상황이 더 심각하다는 지적이다.

이 때문에 중장기 한우농가의 경영안정을 위해선 저능력 암소 도태, 송아지 입식 자제 등 사육농가의 자구적 노력이 절실한 실정이다. 아울러 효과적인 수급조절을 위해선 대규모 전업농가의 적극적인 자율감축 동참이 요구되고 있다. 최근 수년 새 한우 사육마릿수가 급증한 것은 무엇보다 전체 한우농가(9만곳)의 9%에 불과한 100마리 이상 사육농가들이 규모를 계속 확대한 영향이 크기 때문이다.

정부도 한우산업 위기를 방관해선 안된다. 올해 들어 특히 한우값이 큰 폭으로 하락한 배경에는 공급과잉 우려에도 불구하고 물가안정을 이유로 외국산 쇠고기를 무관세로 대량 수입한 정부 책임도 있다. 이에 한우업계의 수급조절·소비촉진 노력과 더불어 정부도 농가 사료 구매자금과 암소 도축장려금 지원, 조사료 생산기반 확충 등 한우사육 기반을 유지하기 위한 생산비 보전 대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 농민신문 & nongmi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게시판 관리기준?
게시판 관리기준?
비방, 욕설, 광고글이나 허위 또는 저속한 내용 등은 사전 통보 없이 삭제되거나 댓글 작성이 금지될 수 있습니다.
농민신문 및 소셜계정으로 댓글을 작성하세요.
0 /200자 등록하기

기획·연재

많이 본 기사

최신기사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