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보일러 돌리는 게 겁나는 농촌주민들

입력 : 2022-12-12 00:00

등유값 치솟아 난방비 부담 커져

에너지바우처 지원 대폭 확대를

 

농촌주민들이 유난히 추운 겨울을 보내고 있다. 기온이 떨어져 보일러를 돌려야 하는데 난방용 등유 가격이 감당하기 버거운 수준으로 치솟았기 때문이다. 오피넷(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서비스)에 따르면 7일 난방용 등유 전국 평균 판매가격은 1ℓ에 1584.77원이다. 1년 전 이맘때 1100원에 견줘 44%나 높다. 2년 전 818원과 비교하면 갑절 가까이 급등했으니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

농촌주민들 대부분은 등유보일러를 사용한다. 상대적으로 비용이 저렴한 도시가스를 쓰고 싶지만 2020년 기준 농촌지역 도시가스 보급률이 13.7%에 불과하니 그림의 떡인 셈이다. 더욱 아쉬운 것은 정부가 올해 가격이 크게 오른 휘발유와 경유는 유류세를 법정 한도인 37%까지 내려 국민들 부담을 덜어줬지만 등유는 아무런 대책을 내놓지 않고 있다. 이뿐 아니다. 도시민들이 많이 사용하는 난방용 액화천연가스(LNG)와 액화석유가스(LPG)는 내년 3월까지 할당관세 0%를 적용해 난방비 부담을 줄여주기로 했다.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로 가격이 급등했기 때문이다.

상황이 이러니 농촌주민들은 집에서 가능한 한 난방을 최소화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안방만 잠깐 보일러를 돌리거나 전기장판에 의지해 긴 겨울밤을 보낸다. 고령인 데다 몸이 아픈 주민들이 많아 자칫 건강이 더욱 악화하지는 않을까 걱정된다. 날이 밝으면 서둘러 경로당을 찾지만 여럿이 모이다보니 코로나19 감염 우려에 불안감이 크다.

정부와 각 지방자치단체는 뒷짐만 지고 있어서는 안된다. 난방비 부담을 경감하기 위한 다각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우선 저소득층과 취약계층에게 전기·가스·지역난방 등에 필요한 비용을 지원하는 ‘에너지바우처’를 크게 늘려야 한다. 올해 에너지 비용이 급등하자 정부가 지원 대상과 금액을 한시적으로 확대했지만 기초생활수급 세대 가운데 노인·영유아·장애인·임산부 등이 포함된 세대만 받을 수 있어 상당수 농촌주민들은 사각지대에 놓여 있어서다.

아울러 LPG배관망 구축사업도 속도를 내야 한다. 마을 단위에 소형저장탱크를 설치하고 각 가정에 배관으로 LPG를 공급하면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가격도 등유나 LPG배달 용기에 비해 휠씬 저렴해 농가 부담이 줄게 된다. 농촌주민들은 보일러 돌아가는 소리에 더이상 놀라지 않길 바라고 있다.

ⓒ 농민신문 & nongmi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게시판 관리기준?
게시판 관리기준?
비방, 욕설, 광고글이나 허위 또는 저속한 내용 등은 사전 통보 없이 삭제되거나 댓글 작성이 금지될 수 있습니다.
농민신문 및 소셜계정으로 댓글을 작성하세요.
0 /200자 등록하기

기획·연재

많이 본 기사

최신기사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