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한우 수급·가격 안정 위해 힘 모아야

입력 : 2022-12-02 00:00

한우산업이 위기를 맞고 있다. 한우 사육마릿수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는 가운데 경기침체와 금리인상·고물가 등으로 소비심리가 급격히 얼어붙고 있어서다. 사육여건도 악화하고 있다. 폭등한 사료비는 내릴 기미가 보이지 않는데 산지 송아지 가격이 급락하고 지육 도매가격은 내림세를 지속하고 있다.

농협 축산정보센터에 따르면 올 10월 4∼5개월령 암수 송아지 한마리당 평균 산지 가격은 각각 200만1000원·304만5000원으로 1년 전(283만원·366만9000원)에 견줘 60만원 이상 떨어졌다. 한우 지육 1㎏당 전국 평균 경락값은 9월 2만53원에서 10월 1만8898원, 11월 1만7787원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한우 사육·도축 마릿수는 계속 늘고 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올 9월말 기준 한우 사육마릿수는 355만6000마리로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4.7% 늘었다. 올 3분기 한우 도축마릿수는 23만2000마리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견줘 8.9%(1만9000마리) 증가했다.

이런 상황에서 전문가들은 대내외 환경 변화로 2023년에는 한우산업이 폭락할 수도 있다고 경고한다. 공급과잉과 수요 감소가 지속되면 내년엔 수급 불안이 심화할 것이란 분석이다. 최근 충남 홍성에서 열린 ‘한우산업 안정화를 위한 현장 정책 토론회’에서는 이같은 위기감이 반영돼 수급조절·가격안정화 방안 마련을 촉구하는 농가들의 목소리가 높았다. 한편에선 농가 경영과 수급 안정을 위한 특별법을 제정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했다. 농가가 체감하는 한우 가격 하락 문제가 심각한 까닭에 정부는 중장기적으로 한우산업 안정화를 위한 ‘송아지 계약생산제’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이렇듯 풍전등화(風前燈火)의 한우산업이 위기에서 벗어나려면 정부와 생산자·업계가 힘을 모아 해법을 찾아야 한다. 사육 현장에서는 조사료 자급률을 높이고 저능력우 감축사업을 지속해야 할 것이다. 소비 측면에선 지방자치단체 역할이 중요하다. 한우 소비기반 확대를 위해선 각 지자체가 내년부터 시행하는 고향사랑기부제(고향세)를 적극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 농민신문 & nongmi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게시판 관리기준?
게시판 관리기준?
비방, 욕설, 광고글이나 허위 또는 저속한 내용 등은 사전 통보 없이 삭제되거나 댓글 작성이 금지될 수 있습니다.
농민신문 및 소셜계정으로 댓글을 작성하세요.
0 /200자 등록하기

전체 댓글 0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기획·연재

많이 본 기사

최신기사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