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수원 옛 농진청 부지에
농업관·식물원·수직농장 등
전시·체험·교육 공간 조성

국립농업박물관(관장 황수철)이 15일 본격 개관했다. 2019년 12월 첫 삽을 뜬 지 3년, 2012년 설립 계획이 확정된 지 10년 만이다.
경기 수원시 권선구 서둔동 249-7번지(옛 농촌진흥청 부지 일부) 일원에 들어선 국립농업박물관은 농업 유물을 전시하고 체험·교육을 제공하는 복합문화공간이다.
15일 개관식엔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을 비롯해 더불어민주당 백혜련(경기 수원을)·김영진 의원(〃 수원병), 염태영 경기도 경제부지사, 이재준 수원시장 등 200여명이 참석해 축하했다.
황수철 관장은 “농업계 숙원이자 국가가 설립한 최초의 농업박물관이 드디어 문을 열었다”면서 “농업이 지나온 길을 보여주는 동시에 나아갈 길을 제시하는 나침반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
정 장관은 “한국 농업 역사를 대표하는 상징적 장소에 국립농업박물관이 개관하는 것은 매우 뜻깊은 일”이라면서 “정부는 국민뿐 아니라 외국인도 즐겨 찾는 세계 최고 농업박물관으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국립농업박물관이 자리 잡은 곳은 우리나라 근현대 농업혁명 산실로 평가된다. 조선 제22대 정조대왕이 농업을 장려하고자 축조한 인공호수 축만제(서호)가 있고, 농진청이 2014년 전주 혁신도시로 이전하기 전까지 52년간 통일벼 등 농업 연구를 수행했다.
국립농업박물관은 크게 본관과 별관, 야외 체험시설로 나뉜다. 본관엔 농업관·어린이박물관·식물원·수직농장 등이 있다. 농업관은 농업 기원부터 미래 모습을 땅·물, 종자, 재배, 수확, 저장·가공, 운반·유통, 미래 농업 등 9가지 핵심주제를 통해 보여준다.
별관엔 한식문화를 엿볼 수 있는 전시와 요리강좌, 농생명과학실험, 농업 특화 교육 등 체험형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식문화관이 있다. 야외 체험시설엔 다랑이 논밭, 과수원 등을 조성해 농촌 경관을 재현했다.
국립농업박물관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하고 월요일은 휴관한다. 관람료는 무료지만 일부 전시·교육에는 요금이 발생할 수 있다.
수원=김소영 기자
ⓒ 농민신문 & nongmin.com, 무단 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 게시판 관리기준?
- 비방, 욕설, 광고글이나 허위 또는 저속한 내용 등은 사전 통보 없이 삭제되거나 댓글 작성이 금지될 수 있습니다.
- 농민신문
- 페이스북
- 네이버블로그
-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