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테크’로 농식품 혁신] 정부 ‘발전방안’ 주요 내용
10대 핵심기술 선정…지원확대
투자자·기업 잇는 플랫폼 구축
해외시장 규제·동향 정보 제공
원료 국산화·융복합 인재 양성
정부가 2027년까지 푸드테크 유니콘기업(거대 신생기업) 30곳을 육성해 이 분야 수출액을 20억달러로 늘린다. 이를 위해 1000억원 규모로 푸드테크 전용펀드를 단계적으로 조성하고 10대 핵심기술 분야를 선정해 연구개발(R&D) 지원을 확대한다.
정부는 14일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정부서울청사에서 비상경제장관회의를 열고 ‘푸드테크 산업 발전방안’을 내놨다.
◆푸드테크란=푸드테크는 식품의 생산·유통·소비 등 모든 과정에 첨단기술을 결합한 신산업이다. 배달애플리케이션(앱), 콩으로 만든 고기, 무인 주문기계(키오스크), 배달·서빙·조리 로봇 등 푸드테크는 이미 우리 생활 여러곳에 분포돼 있다. 코로나19 이후 건강·환경을 중시하는 가치소비, 개인 맞춤형 소비, 비대면 소비 등으로 식품 소비 유행이 변화하면서 전세계적으로 고성장이 전망되는 산업분야로 떠올랐다.
2020년 기준 세계 푸드테크 시장규모는 5542억달러(약 700조원)로 추정되며 우리나라는 61조원 수준으로 파악된다. 특히 2017∼2020년 연평균 30%가 넘는 성장률을 구가하고 있다.
정부는 푸드테크가 정보통신(IT) 등에 기술력이 높은 우리나라가 충분히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분야로 보고 농식품부는 청년 창업과 일자리 창출,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 활성화 기회로 삼기 위해 이를 전략적으로 육성하기로 했다.
◆선도기업 육성, 산업 저변 확대, 성장기반 마련=방안은 크게 3가지다. 우선 관련 산업을 선도할 혁신기업을 육성한다. 현재 마켓컬리·오아시스 등 2곳 정도인 유니콘기업을 2027년까지 30곳으로 확대한다. 이를 위해 내년 100억원을 시작으로 2027년까지 1000억원 규모로 전용 펀드를 조성해 관련 기업에 필요한 자금을 지원한다. 투자자와 기업을 잇는 ‘푸드테크 투자정보 플랫폼’을 내년 6월까지 구축하고 소재 개발부터 제품 시험까지 가능한 ‘푸드테크 융합 연구지원센터’를 설치한다.
산업 저변도 넓힌다. 국내 기업 지구인컴퍼니는 2019년에 완두를 활용한 식물성 대체육인 햄버거 패티(다진 고기)를 개발해 홍콩·싱가포르 등 6개국으로 수출하고 있다. 또한 미국·유럽연합(EU) 등 관련 시장이 큰 곳에 더 많은 기업이 진출할 수 있도록 식품첨가물, 표시 기준 등 각종 규제 정보와 시장 동향 등을 제공하고 국가별 유망상품을 개발 지원한다.
수입 원료를 국산으로 대체해 산업 저변을 확대한다. 콩·쌀·버섯 같은 주요 대체식품 원료·소재 정보를 2024년까지 데이터베이스(DB)를 만들어 기업에 제공하는 것이다. 기업과 농가간 자율적 원료수급 협력체계도 구축한다.
산업 성장기반도 마련한다. ▲세포배양식품 ▲식물기반식품 ▲간편식 ▲식품프린팅 ▲스마트 제조 ▲스마트 유통 ▲식품 커스터마이징(고객 맞춤형) ▲외식 푸드테크 ▲식품 업사이클링(새활용) ▲친환경포장 등 10대 핵심기술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을 강화한다.
주요 대학에 ‘푸드테크 양성 교육과정’을 신설하고 푸드테크 계약학과를 현재 4개교에서 2027년 12개교로 늘린다. 이를 통해 청년창업가 1000명, 신규 산업인력 2000명 등 융복합 인재 3000명을 양성한다.
김소영 기자
ⓒ 농민신문 & nongmin.com, 무단 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 게시판 관리기준?
- 비방, 욕설, 광고글이나 허위 또는 저속한 내용 등은 사전 통보 없이 삭제되거나 댓글 작성이 금지될 수 있습니다.
- 농민신문
- 페이스북
- 네이버블로그
-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