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발전 국회 토론회
국내 기술·제도 측면 초기단계
학·연·관·산 협력 플랫폼 조성
전문인력·혁신기업 육성 필요

먹는 것과 연관된 문제를 해결하는 ‘푸드테크’ 시장규모가 우리나라 한해 예산과 맞먹는 600조원으로 추산됐다. 하지만 미국·유럽 등이 주도하는 세계 푸드테크 시장은 5경원 규모로 훨씬 방대해 국내 정책 지원과 기술 수준을 한층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김홍걸 무소속 의원(비례대표) 등이 6일 국회에서 개최한 ‘푸드테크 산업발전을 위한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은 식품과 첨단기술이 결합된 푸드테크가 미래 핵심산업이자 성장산업이란 관점을 공유하고 푸드테크를 통한 식품산업 발전방안을 모색했다.
김 의원은 “푸드테크는 이미 낯선 개념이 아니라 밤사이 식자재를 배송하는 ‘새벽배송’, 인력난을 해결하는 ‘로봇 서버’, 지하철역에서 볼 수 있는 ‘스마트팜’ 등 다양한 곳에서 싹을 틔우고 있다”며 “이제 싹을 틔운 국내 푸드테크를 성장시킬 토양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푸드테크 발전을 위한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창업 등을 지원할 수 있도록 ‘식품산업진흥법 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며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면 정부 지원을 바탕으로 푸드테크 산업이 빠르게 성장할 것”이라고 했다.
이기원 서울대학교 푸드테크학과장은 “남이 하지 않은 일에 도전해 불가능을 가능하게 만드는 ‘창발(Emergence)’ 생태계가 가장 활발히 이뤄지는 분야가 바로 푸드테크”라며 “이는 기존 식품과 연관된 산업을 인공지능·가상현실·블록체인·로보틱스·스마트팜 같은 창발기술을 활용해 대체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푸드테크의 국내 시장규모를 약 600조원, 세계시장 규모를 약 5경원으로 예측했다. 국내 푸드테크 발전은 세계시장에 견줘 걸음마 단계인 셈이다. 이 학과장은 “푸드테크 산업은 2010년부터 급속히 성장했으나 인재육성을 위한 대학과 정부의 기여가 미미하다”며 “정보기술(IT)·바이오기술(BT)·문화기술(CT)을 융합한 푸드테크 산업 창발을 위해 민간 주도의 ‘학·연·관·산’ 협력 플랫폼으로 창발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식품기업들은 정부의 ‘2050 탄소중립 선언’과 주요 수출시장인 미국과 유럽연합(EU)에서 기업의 환경·사회적 책임(ESG)을 의무화하려는 움직임이 일자 탄소배출을 줄이는 식품을 생산하는 것에 부담을 느낀다고 토로하고 있다. 조상우 풀무원 부사장은 “4차산업혁명 기술을 접목해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식품을 공급하는 일이 중요하지만 민간에서 단편적으로 접근해 국제 경쟁력을 확보하기는 쉽지 않다”며 “정부는 세계 인구증가, 식품산업 규모 확대, 친환경 원료 확보 등 다양한 과제를 직시하고 해외농업개발과 디지털 모의실험 기술을 적용한 최적의 생산·보관·수송 방안을 확보하길 바란다”고 했다.
정부도 푸드테크의 필요성과 성장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우리나라가 보유한 로봇·인공지능(AI) 등 높은 기술력을 식품산업 전반에 적용할 수 있고, 푸드테크에 진출해 성공을 거둔 청년 스타트업 사례가 속속 나오고 있어서다. 강혜영 농림축산식품부 식품산업정책과장은 “미국·EU 등은 과감한 정책 지원으로 산업화 단계에 진입했지만 우리나라는 기술과 제도 측면에서 아직 초기단계”라며 “혁신기업 육성, 연구개발 지원 강화, 융복합 인력양성 등의 내용을 담은 ‘푸드테크 산업 발전방안’을 수립하겠다”고 밝혔다.
홍경진 기자
ⓒ 농민신문 & nongmin.com, 무단 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 게시판 관리기준?
- 비방, 욕설, 광고글이나 허위 또는 저속한 내용 등은 사전 통보 없이 삭제되거나 댓글 작성이 금지될 수 있습니다.
- 농민신문
- 페이스북
- 네이버블로그
-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