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리…미국 농작물 생산 감소 우려

입력 : 2022-11-30 00:00

대출이자 7.35%까지 올라

농가 원리금 부담 가중 지속

내년 작물 파종량 줄어들듯

 

01010101501.20221130.001357177.02.jpg
미국에서 금리 인상으로 농작물 생산 감소와 식량 부족까지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미국 아칸소주에서 농부가 콤바인으로 쌀을 수확하고 있다. 연합뉴스

금리 인상으로 평소 대출 의존도가 큰 미국 농민들의 부담이 커져 농작물 생산 감소와 식량 부족까지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로이터>는 미국 농민들의 이자 부담이 최근 크게 늘었다고 보도했다. 오하이오주에서 옥수수·콩 농사를 짓는 크리스 깁스씨는 5월 연 3.3% 변동금리로 7만달러(9400만원)의 대출을 받았다. 이후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이 이어지면서 대출 이자율은 현재 7.35%까지 치솟았고 올 연말에는 8%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8개월 만에 금리가 2.4배나 오른 것이다.

미국 농무부(USDA) 자료에 따르면 농업부문의 대출이자 등 총 차입 비용은 올해 264억5000만달러(35조7000억원)로 지난해보다 32% 가까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런 증가율은 물가상승률을 고려해도 1990년 이후 최고치다.

미국 인구조사국 자료에 따르면 올해 농업부문의 총 차입비용은 소매유통·의약품 분야 등 다른 업종의 2배 또는 그 이상이다.

미국 농민 대다수는 가을 추수 전과 봄 파종 전에 변동금리로 단기 대출을 받아 이 돈으로 종자·비료·가축·농기구 등을 구매한다. 이들은 농작물을 수확한 뒤 이를 판 대금으로 대출금을 갚는 과정을 반복한다.

하지만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을 잡기 위한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대출금리가 치솟자 농민들이 차입 비용 급증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원리금 부담이 커지면서 유동성 압박에 처한 농민들은 내년 봄 파종 시기에 더 적은 작물을 심거나 비료 사용량을 줄일 수밖에 없다. 이에 결국 농작물 수확량이 감소하고 농산물 가격 상승 압력이 커질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 광범위한 인플레이션으로 비료·연료 가격, 농지 임차료 등 모든 비용이 늘어 이자뿐 아니라 필요한 대출 원금 규모도 불어나고 있다.

캔자스시티 연방준비은행 자료에 따르면 농장 하나를 운영하는 데 필요한 은행 대출 평균 금액은 약 50년 만에 최대로 올랐다.

농기구업체들이 농기구를 할부로 사는 농민에게 제공하는 대출금리도 6개월 만에 2배 이상 올랐다. 농기구 제조업체 디어앤컴퍼니의 금리는 7.65%이며, CNH인더스트리얼은 7.8% 등이다.

네브래스카주 스카츠블러프에서 농기구 대리점을 운영하는 케이시 시모어씨는 “농업은 부채 비율이 높은 사업이라 모든 것에 자금 조달이 필요하다”며 “이자 지급으로 많은 금액이 지출되고 있다”고 말했다.

장재혁 기자

ⓒ 농민신문 & nongmin.com, 무단 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게시판 관리기준?
게시판 관리기준?
비방, 욕설, 광고글이나 허위 또는 저속한 내용 등은 사전 통보 없이 삭제되거나 댓글 작성이 금지될 수 있습니다.
농민신문 및 소셜계정으로 댓글을 작성하세요.
0 /200자 등록하기

기획·연재

많이 본 기사

최신기사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