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비상대책위원회 17일 출범…사태 수습 첫발

입력 : 2022-10-17 16:21 수정 : 2022-10-17 16:32
카카오톡 오류. 연합뉴스

15일 판교에 있는 SK C&C 건물 지하 3층에서 화재가 발생한 지 이틀이 흘렀지만 완전한 사태 수습까지는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보인다.

오늘(17일) 오후 3시 기준으로 주요 기능 대부분이 정상화됐지만 일부 기능은 여전히 먹통인 상태다. 대표적으로 카카오톡 내에서 사진ㆍ영상을 전송할 때 일부 속도 저하 현상이 밠애하고 있고, 카카오맵에서 대중교통 길찾기나 로드뷰 기능을 이용할 때, 다음 메일로 수신ㆍ발신 할 때 장애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영세 자영업자가 주문을 접수받거나 고객 문의에 대응할 때 이용하는 카카오 채널도 제대로 작동하고 있지 않다. 사업장별로 매출 규모가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피해 금액을 예상할 순 없으나 상당한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된다.

카카오는 각 서비스 페이지를 통해 장애 복구 상황을 공지하고 있다. 또 오늘 홍은택 카카오 공동체 센터장을 위원장으로 위임해 ▲원인 조사 소위 ▲재난 대책 소위 ▲보상 대책 소위 등 3개 분과로 구성된 비상대책위원회를 출범시킨다고 밝혔다. 신속한 소비자 피해 대책 수립을 위해선 별도의 채널을 마련해 피해 신고 접수를 받기로 했다. 신고 받은 내용을 기반으로 보상 대상ㆍ범위에 대한 논의를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유료서비스와 무료서비스의 기준과 피해 증명 방법ㆍ절차에 대한 세부적인 논의가 오갈 것으로 보인다. 소상공인연합회도 ‘카카오 피해 접수센터’를 만들어 운영할 계획이다.

하지만 카카오톡이 서비스된 지 12년 만에 발생한 역대 최장 기간 장애였던 만큼 혼란은 좀처럼 사그러들지 않고 있다. 특히 스미싱(문자메시지를 통해 악성코드를 주입시키는 사기수법) 피해를 주의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 카카오는 장애 복구 과정에서 별도의 파일 설치를 요구하거나, 새로운 사이트에 로그인을 요구하지 않는다면서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도 누리집과 안전안내문자를 통해 스미싱 피해 예방 방법을 안내하고 있다.

정부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민간 데이터센터(IDC)도 방송ㆍ통신 시설처럼 국가재난관리시설로 지정해 관리하는 방안을 재추진한다.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는 정확한 화재 발생 원인과 책임 소재를 따지기 위해 김범수 전 카카오 이사회 의장, 이해진 네이버 글로벌투자책임자, 최태원 SK 회장을 오는 2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종합국감장에 증인으로 부르기로 했다.

한편 어제 경기남부경찰청ㆍ국립과학수사연구원ㆍ전기안전공사 등이 1차 감식을 진행한 데 이어 오늘 오후엔 2차 감식을 하고 있다.

이유정 기자

ⓒ 농민신문 & nongmin.com, 무단 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게시판 관리기준?
게시판 관리기준?
비방, 욕설, 광고글이나 허위 또는 저속한 내용 등은 사전 통보 없이 삭제되거나 댓글 작성이 금지될 수 있습니다.
농민신문 및 소셜계정으로 댓글을 작성하세요.
0 /200자 등록하기

기획·연재

많이 본 기사

최신기사

맨 위로 이동